반응형
늘 마스크를 쓰고, 수시로 손을 씻다 보니 잔병치레가 없어졌다. 며칠 전 속이 더부룩해서 비상약을 찾았는데, 소화제는 물로 진통제 해열제, 오만가지 약들의 유통기한이 지나있었다. 버려할 약들을 수북히 쌓아놓고, 폐의약품을 어떻게 버려야할지 검색해봤다.
※ [참고] 폐의약품 - 유효기간이 경과했거나 복용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는 약
폐의약품 처리방법
폐의약품이 매립되거나 하수구로 버려질 경우 항생물질과 같은 약 성분이 토양이나 지하수, 하천에 유입돼 환경오염을 유발하고, 슈퍼박테리아 등 내성균 확산 초래로 시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. 폐의약품은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별도의 전용 수거함에 분리배출 후 소각하는 것이 원칙이다.
폐의약품 전용 수거함은 현재 약국 또는 보건소 등에 마련되어 있고, 동주민센터·구청·복지관 등 공공시설에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.
반응형
'알려주는 나알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/18~1/2] 식당 카페 사적모임 인원제한 - 12월 거리두기 개편안 (0) | 2021.12.16 |
---|---|
운전면허증 재발급 신청 준비물 - 운전면허시험장 당일발급 (0) | 2021.12.15 |
[서울시] 상권회복특별지원상품권 판매일정 - 10% 페이백 이벤트 (0) | 2021.12.13 |
평일 주말 코로나 검사 - 서울시 코로나19 검사소 4개소 운영 (0) | 2021.12.10 |
육아휴직 제도 - 윤석열 vs 이재명 출산·육아 관련 공약 비교 (0) | 2021.12.09 |